티스토리 뷰

청소년기의 외적 문제행동, 비행

최근에 청소년문제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문적인 연구노력 또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청
소년문제의 개념은 이와 유사한 타 개념들과의 혼동과 규
정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전문 연구자들간의 의사소통 체
계를 불명료하게 하고, 연구의 범위와 질을 제한시키며, 그
리고 개선방안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저해시키고 있다. 그
러므로 청소년문제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인
식방법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외적문제
청소년기외적문제


1990년대 들면서 중·고등학교에서는 학교폭력문제가 심
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성적 비관과 가정문제
등으로 인한 청소년 자살 또한 연일 매스컴에 보도되고 있
다. 대학 내에서도 성폭력 문제가 불거져 나오고 있으며,
대학생 음주사고, 대학생의 향락업소 아르바이트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레저산업의 급증
과 사회 전반의 사치풍조에 힘입어 청소년 가출과 미성년
자 향락업소 취업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유흥비 마련을
위한 갖가지 범죄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청소년들의 외현적 문제행동을 일컫는 비행에 대하여
그 개념과 원인 그리고 처치방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청
소년 비행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도 뿐만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청소년문제의 개념

청소년문제라고 하면 보통 청소년비행(juvenile delinquency)을 연상할만
큼 비행의 개념은 청소년들에게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비행이라는 말은
본래 법률적 용어이지만 심리학에서는 주로 청소년들에게만 적용되는 용
어이고 성인인 경우에는 범죄(crime)라고 한다(심응철, 1988). 또한 비행과
유사한 말로 일탈(逸脫)이란 말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주로 사회학에서
쓰는 용어로서 사회적 규범에서 벗어난 행위 즉 속임수, 야바위, 기만, 불
공평, 범죄, 비열, 꾀병부리기, 부도덕, 불성실, 배신, 부패, 사악, 범죄 등을 포
괄하는 말이다. 그리고 청소년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부적응
(maladjustment)이란 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정신적·행동적 비정
상과 관련된 개념으로써 심리학과 정신의학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청
소년문제와 관련한 용어들이 학문영역에 따라 제각기 달리 사용되고 있
지만, 이를 크게 구분하면 청소년비행과 부적응행동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청소년비행에 대해 살펴보면, 비행을 잘못된 행동(misbehavior)이
라고 규정하는데 대해서는 누구나 인정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잘못된
행동이 비행인지는 연구자들마다 일정하지 않다. 비행에 속하는 행동은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관습 및 문화적 가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비
행 행위자의 나이나 성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성혜, 1996). 그리
고 청소년비행에 접근하는 학문분야에 따라 비행을 달리 규정하고 있음
으로서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비교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법 관련 분야에서는 청소년비행을 일정한 행위 규범에 반하는 행위 내
지 인격적 태도를 지칭하는 것으로, 청소년에 의한 모든 반사회적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고 있다. 여기서 반사회적 행동이란 법률이나 사회
관습 등 사회규범에 위반되는 행동으로서 사회의 안전과 발전에 저해되
는 행동을 말한다(송정부, 1993). 사회학 분야에서는 청소년비행을 청소년
에 관한 사회문제 즉, 일탈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이 때 사회문제란 영향

청소년문제에 대한 의식

력있는 집단이 특정 사회현상 및 행동에 대해 그것이 사회의 가치관을 저
해한다고 규정할 때 존재하며, 그런 사회현상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영향
을 미칠 뿐만 아니라 반대로 공동의 노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Sullivan & Thompson, 1988).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법 관련 분야나 사회학 분야에서의 비행의
개념은 성인 또는 사회의 영향력있는 집단이 청소년들의 행위에 대해 그
것이 사회적 법이나 관습, 가치관 등을 위배한다고 판단할 때 규정한 개
념으로써 다분히 성인 중심이며,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중시한 개념이라
고 할 수 있다(한상철, 1998).
청소년비행에 관한 실제 연구과정에서 비행 행위를 분류한 여러 학자
들의 견해를 통해 비행의 개념을 보다 명료화해 볼 필요가 있다.
Sanders(1981)는 살인이나 강간, 강도, 폭행 등의 강력범죄와 주거침입, 절
도 등 재산법죄를 중한 범죄로, 사소한 절도나 폭행을 형법 위반 행위로,
가출이나 무단결석, 음주, 흡연, 미성년자 출입금지 구역의 출입 등을 지위
비행으로 구분하였다. 노성호(1992)는 비행을 문제행동과 범죄로 구분하
고, 문제행동을 지위비행 즉 음주, 흡연, 당구장 출입이나 디스코장 출입,
가출, 무단결석 등과 같은 범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정현(1993)은 대
인비행, 성비행, 공공질서비행, 지위비행, 약물사용비행, 재산비행으로 구분
하였고, 김선남(1994)는 폭력비행, 성비행, 반항적 비행, 학업비행, 지위비행
으로 구분하였으며, 남정자(1990)는 폭력비행, 쾌락비행, 가출비행, 반항비
행, 지위비행, 약물비행, 재산비행으로 분류하였다.
여러 학자들의 청소년비행 분류체계를 근거로 비행의 개념을 살펴보더
라도 대체로 성인 사회가 규정한 법이나 관습, 가치 등을 위반한 행위에
대해 이를 비행으로 분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비
행이란 "청소년들의 사회적 행위에 대해 성인 또는 영향력 있는 집단이
도덕적·사회적 · 법률적 측면에서 옳지 못한 행동이라고 규정한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파괴하거나 위협하는
본질적 비행이 있는가 하면, 단지 청소년이기 때문에 그들의 행위가 비행
으로 분류되는 인위적인 비행도 있다.